
금융투자협회는 지난 8월 말 기준 증권사·은행 등 금융회사 영업점·지점,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통해 판매된 펀드 규모가 1002조9890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ETF·부동산펀드·특별자산펀드 등 상장시장에서 거래되는 펀드 등은 제외됐다.
전체 펀드 판매잔고는 지난해 말 872조8000억원 130조2000억원 늘며 올해 들어 14.9% 증가했다.
공·사모 유형별로 공모펀드는 지난해 말 233조원 대비 69조5000억원(29.8%) 늘어난 302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전문투자자가 주로 투자하는 사모펀드는 지난해 말 639조8000억원 대비 60조6000억원(9.5%) 늘어난 700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펀드 유형별로 단기금융펀드(MMF)는 224조7000억원으로 전체 판매비중의 22.4%를 차지했다. 이어 부동산펀드(185조7000억원·18.5%)와 채권형펀드(172조5000억원·17.2%)가 뒤를 이었다.
공모펀드는 MMF가 165조8000억원으로 전체의 54.8%를 차지했고, 채권형펀드(52조4000억원·17.3%)와 주식형펀드(28조원·9.3%) 순으로 나타났다.
사모펀드는 부동산펀드(185조1000억원·26.4%)의 판매잔고 규모가 가장 컸다. 이어 특별자산펀드(148조2000억원·21.2%), 채권형펀드(120조1000억원·17.1%) 순이었다.
주요 금융기관별 판매잔고는 증권사가 799조5000억원(79.7%)으로 가장 비중이 컸다. 은행은 112조원(11.2%), 보험사는 12조1000억원(1.2%)을 기록했다.
고객유형별로는 금융기관 법인이 퇴직연금, 법인 MMF 등의 영향으로 666조5000억원으로 가장 많은 비중(66.5%)을 차지했다. 일반법인은 236조9000억원(23.6%), 개인 99조6000억원(9.9%) 순으로 집계됐다.
개인 투자자의 경우, 주식형펀드가 20조7000억원으로 가장 비중(20.7%)이 컸다. MMF도 비슷한 규모인 20조2000억원(20.3%)으로 나타났다.
전체 펀드 계좌수는 3602만개로 집계됐다. 공모펀드가 3593만 개(99.8%)로 계좌수 대부분을 차지했고, 사모펀드는 9만개(0.2%)로 나타났다.
이환태 금투협 산업시장본부장은 "펀드는 국민의 자산관리와 재산 증식을 위해 활용되는 가장 대중적이고 보편적인 투자수단"이라며 "생산적 금융으로 대전환하는 흐름 속 펀드 시장의 성장은 우리 경제의 재도약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ETF 등 상장펀드를 포함한 국내 전체 펀드시장 규모는 8월 말 순자산총액(NAV) 기준 1308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당정 "배임죄, 기업운영에 부담…폐지가 기본방향"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올데프 영서, '얼빡샷'에도 압도적 비주얼 美쳤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산업용 내리자” Vs “전반적 인상”…전기요금 개편 급부상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IMM인베 '뷰티 대어 기대주' 비나우에 추가 투자…3대주주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피플바이오 혈액치매진단, 中 하이난 의료특구 허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