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산업

산업

현대차·기아, 7월 글로벌 판매 59만7000대...증가세 유지

자동차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올해 7월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한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두 회사 모두 친환경차 중심의 판매 확대 전략과 인기 차종의 생산 최적화 노력을 지속하며 점진적인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현대차는 지난달 국내 5만6227대, 해외 27만8567대 등 총 33만4794대를 판매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0.5% 증가한 실적이다. 국내 판매는 0.4%, 해외 판매는 0.5% 늘었다.국내 시장에서 세단은 그랜저 4408대, 쏘나타 3314대, 아반떼 6145대 등 총 1만 4483대가 팔렸다. 레저용 차량(RV) 부문에서는 팰리세이드 6238대, 싼타페 4252대, 투싼 4011대, 코나 2592대, 캐스퍼 1245대 등 총 2만3258대가 판매됐다. 상용차는 포터 4296대, 스타리아 3632대, 중대형 버스 및 트럭 2204대 등이다. 제네시스 브랜드는 G80 2786대, GV80 2157대, GV70 2553대 등 총 8227대가 판매됐다.해외 시장에서는 전년 동월 대비 0.5% 증가한 27만8567대를 기록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친환경차 판매 비중을 확대해 시장 점유율을 지속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며 “탄력적인 고객 수요 대응 위해 판매 호조 차종의 생산 최적화 및 주요 모델 상품성 개선 등 최적의 판매 전략을 실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아는 7월 한 달간 국내 4만5017대, 해외 21만7188대, 특수 판매 500대 등 총 26만2705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한 실적을 올렸다. 국내 판매는 2.2% 감소했지만, 해외 판매는 0.9% 증가했다.국내에서는 카니발이 7211대로 가장 많이 팔렸다. 승용 부문은 레이 3769대, K5 2868대, K8 2090대 등 총 1만1163대가 판매됐다. RV 부문은 쏘렌토 7053대, 스포티지 5424대, 셀토스 4921대, EV3 2199대, 타스만 1271대 등 카니발을 포함해 총 3만223대를 기록했다. 상용 부문은 봉고Ⅲ 3520대 등 총 3,631대가 판매됐다.해외 시장에서는 스포티지가 4만1477대로 최다 판매 모델에 올랐고, 셀토스는 2만3617대, K3(K4 포함)는 1만6813대가 판매됐다. 특수 판매는 국내 116대, 해외 384대로 총 500대를 기록했다.기아 관계자는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 호조로 6개월 연속 전년비 판매 성장세를 지속하는 중“이라며 ”8월에는 EV4의 수출 본격화와 PV5, EV5 등 친환경차 라인업 확대를 통한 판매 모멘텀을 이어가겠다” 라고 밝혔다.

2025.08.01 16:06

2분 소요
'액티언 하이브리드' 효과…KGM, 7월 판매량 16% 증가한 9620대

자동차

KG 모빌리티(이하 KGM)는 지난 7월 내수 4456대, 수출 5164대를 포함 총 9620대를 판매했다고 1일 밝혔다. KGM 관계자는 "액티언 하이브리드 등 판매 물량 증가에 힘입어 내수가 회복세를 보이며 올해 최대 판매를 기록했다"며 "전년 동월 대비로는 15.7%, 전월 대비로도 4.2% 증가했으며, 지난 4월 이후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내수 판매는 지난달 14일 출시한 액티언 하이브리드(1060대)와 무쏘 EV(1339대)가 상승세를 이끌며 4000대를 넘어섰으며, 올해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액티언 하이브리드는 국내 하이브리드 모델 중 전기차에 가장 가까운 주행 퍼포먼스와 연비 효율을 갖춘 도심형 SUV로, 세련된 디자인은 물론 선호도가 높은 첨단 안전∙편의 사양을 기본화하고도 3600만원대의 단일 트림으로 합리적인 가격 경쟁력까지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수출은 튀르키예 지역으로 토레스 EVX 판매 물량이 늘며 전년 동월 대비 26.7%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누계 대비로도 9.4% 증가한 상승세를 이었다.KGM은 회복세를 보이고 내수 판매 물량 증가를 위해 지난달 구독서비스인 ‘KGM 모빌링' 출시와 함께 ‘익스피리언스센터 부산’을 새롭게 개관했으며, 보다 많은 소비자들이 액티언 하이브리드 등 KGM 모델을 접할 수 있도록 시승 이벤트를 마련하는 등 고객 접점 확대에 나서고 있다.KGM 관계자는 “액티언 하이브리드가 본격적으로 출시되며 내수 판매 회복세와 함께 올해 최대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며, “내수 판매 물량 증가를 위한 고객 접점 확대 등 다양한 마케팅 전략과 글로벌 시장 공략 강화를 통해 판매 물량을 늘려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2025.08.01 15:40

2분 소요
자동차, EU·日과 같은 15% 관세인데 왜?…현대·기아차 '급락'

증권 일반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 협정에서 한국산 자동차 관세를 15%로 합의하면서 현대차와 기아차의 주가가 급락중이다. 그 동안 무관세로 수출해온 한국차가 2.5% 관세를 지불해 오던 일본 및 유럽차 대비 이점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31일 오후 2시 현재 #현대차는 전날보다 4.71% 급락한 21만2500원, #기아는 6.79% 떨어진 10만2900원에 거래중이다.대통령실은 이날 미국과의 관세협상에서 상호관세를 15%로 합의하는 동시에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도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발표했다.이는 일본, 유럽연합(EU) 자동차와 같은 수준이다.이날 협상 결과를 두고 현대·기아차는 "관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 방안을 추진하는 동시에 품질 및 브랜드 경쟁력 강화와 기술 혁신 등을 통해 내실을 더욱 다져 나갈 계획"이라며 "대미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해 온 힘을 다해주신 정부 각 부처와 국회의 헌신적 노력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밝혔다.다만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지난 10년 가까이 미국에 자동차를 무관세로 수출해 온 한국이 그간 2.5%의 관세를 적용받던 일본, EU와 같은 관세율을 부담해야 하게 되면서 이점이 사라졌다는 아쉬움이 나온다.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는 "미국 신공장 가동을 고려하지 않으면 현대, 기아는 각각 50만대 내외가 관세에 노출된다"며 "관세 부과 1% 당 양사 각각 연 1500억원 내외의 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다만 자동차 품목별 관세가 25%에서 15%로 낮아짐에 따라 부정적인 요소가 완화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송선재 하나증권 애널리스트도 "기존 관세율 25% 하에서 완성차 기준으로 연간 10조원 정도의 비용이 반영될 수 있었는데, 15%로 조정되면 연간 6조원 수준으로 4조원 이상의 비용이 감소할 것"이라고 분석했다.아울러 "6조원 비용을 줄이기 위해 현지 생산을 확대하고, 현지 판매가격을 인상하는 등의 노력이 실행되면서 최종 비용은 이보다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5.07.31 14:11

2분 소요
볼보자동차코리아, 신형 XC90·S90 출시 기념 쇼케이스 진행

자동차

볼보자동차코리아가 신형 XC90과 S90의 국내 출시를 기념해 서울 강남 신세계 파미에스테이션에서 ‘XC90 & S90 쇼케이스’를 진행한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쇼케이스는 최근 새롭게 출시한 신형 XC90 및 S90을 직접 보고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기획됐다. 행사는 오는 8월 2부터 10일(토)까지 총 9일간 진행되며, 현장에는 신형 XC90 및 S90 실차 전시와 함께 플립 디스플레이 형태의 포토존 및 고객 참여 프로그램이 운영될 예정이다.먼저 쇼케이스 방문 고객이 간단한 고객 정보를 등록하면 관심 차량 풍선과 함께 경품 증정용 스크래치 쿠폰이 제공된다. 경품은 ‘픽 바이 볼보’(Pick by Volvo)의 볼보 왜건을 비롯해 ▲피크닉 매트 ▲카드 포켓 ▲골프공 ▲쥬트백 ▲폴딩박스 넷백 등 실용적인 아이템들로 구성된다.또한 XC90, S90 등 볼보자동차의 차량 이미지를 직접 확인하고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는 플립 디스플레이 형태의 포토존도 마련된다. 쇼케이스 방문 고객이 선택한 관심 차량에 대한 타이틀 컷, 뷰티 컷, 디테일 컷 중 원하는 앵글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진 촬영 후 키오스크를 통한 즉석 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이윤모 볼보자동차코리아 대표는 “볼보를 대표하는 플래그십 모델인 XC90과 S90을 더 많은 고객분들이 직접 보고 경험할 수 있도록 유동 인구가 많은 공간에서 쇼케이스를 기획하게 됐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볼보가 추구하는 스웨디시 프리미엄의 가치를 많은 분들이 경험해 보셨으면 좋겠다”고 전했다.한편 ‘XC90 & S90 쇼케이스’는 별도의 예약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방문할 수 있으며, 주말 및 공휴일 포함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영된다.

2025.07.30 15:32

2분 소요
재계 총수들 '美관세협상' 총력…정의선도 미국 간다

산업 일반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힘을 보태기 위해 미국으로 갈 예정이다. 30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정 회장은 이날 오후 미국 워싱턴으로 출국할 예정이다.정 회장은 현재 막판 논의가 진행 중인 관세협상을 돕고자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 이에 세 번째 재계인사로 미국행에 합류한다.앞서 김동관 부회장은 한국이 미국 측에 제안한 조선 산업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의 구체화 등을 위해 지난 28일 워싱턴으로 떠났고, 다음날인 29일에는 재계 1위 삼성전자의 이재용 회장이 이를 따랐다.이 회장은 우리측 협상 카드로서 미국 내 반도체 투자 확대 및 첨단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 기술 협력을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여기에다 글로벌 3위 완성차그룹 수장이자 앞서 트럼프 행정부와 함께 대규모 현지 투자를 발표한 정 회장이 이에 합류하면서 우리나라 관세협상단 행보에는 큰 힘이 실릴 것으로 전망된다.현대차그룹은 지난 3월 정의선 회장이 직접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미국 조지아주의 차량 생산 확대와 루이지애나주의 새로운 철강 공장 건설 등을 포함한 21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정 회장은 지난 14일 이재명 대통령과 단독으로 만찬 간담회를 갖기도 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각 그룹 회장으로부터 대미 투자와 글로벌 통상, 지방 활성화 방안, R&D(연구개발) 투자 및 미래 사회 대응 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의견과 애로사항을 청취했다"고 설명했다.

2025.07.30 15:15

2분 소요
이재용 이어 정의선도 미국행…관세협상 막판 지원사격

자동차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돕기 위해 미국으로 향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 이은 두 번째 재계 총수의 합류다.30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정 회장은 이날 오후 미국 워싱턴으로 출국할 예정이다.정 회장은 현재 막판 논의가 진행 중인 관세협상을 돕고자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 이에 세 번째 재계인사로 미국행에 합류한다.앞서 김동관 부회장은 한국이 미국 측에 제안한 조선 산업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의 구체화 등을 위해 지난 28일 워싱턴으로 떠났고, 다음 날인 29일에는 재계 1위 삼성전자의 이재용 회장이 이를 따랐다.이 회장은 우리측 협상 카드로서 미국 내 반도체 투자 확대 및 첨단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 기술 협력을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여기에다 글로벌 3위 완성차그룹 수장이자 앞서 트럼프 행정부와 함께 대규모 현지 투자를 발표한 정 회장이 이에 합류하면서 우리나라 관세협상단 행보에는 큰 힘이 실릴 것으로 전망된다.현대차그룹은 지난 3월 정의선 회장이 직접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미국 조지아주의 차량 생산 확대와 루이지애나주의 새로운 철강 공장 건설 등을 포함한 21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정 회장은 지난 14일 이재명 대통령과 단독으로 만찬 간담회를 갖기도 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은 각 그룹 회장으로부터 대미 투자와 글로벌 통상, 지방 활성화 방안, R&D(연구개발) 투자 및 미래 사회 대응 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의견과 애로사항을 청취했다"고 설명했다.특히 지난 4월부터 수입산 자동차에 25%의 품목관세를 부과한 상황에서 한국의 최대 경쟁국인 일본과 유럽연합(EU)이 이를 15%로 내리는 데 성공하면서 정 회장의 역할을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2025.07.30 14:04

2분 소요
KGM, 진흥원과 손잡고 자율주행 기술 개발 본격화

자동차

KG 모빌리티(KGM)가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과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고 상호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고 29일 밝혔다.협약식은 지난 28일 대구 달성군에 위치한 진흥원 본사에서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권용일 KGM 기술연구소 소장과 서재형 진흥원 원장 등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자율주행 기술 공동 개발에 뜻을 모았다.지난 2014년 설립된 진흥원은 자율주행차를 비롯한 차세대 자동차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시험 전문기관이다. 고속 주회로와 범용 시험로 등 다양한 환경의 주행 시험 시설은 물론, 충격·내구 시험 장비와 전문 인력도 갖추고 있다.KGM은 이번 협약을 통해 유럽 자율주행 관련 법규 대응과 자율주행차 양산 기술 확보는 물론, 기술 개발의 효율성 또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 기관은 차량 주행 성능 시험과 평가 등 분야에서도 시험 인프라와 인력, 자원을 공유하며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특히 KGM은 2026년 이후 강화될 운전자 모니터링, 기능 오용 방지, 실도로 테스트 등 NCAP(신차 평가 프로그램) 기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이번 협력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레벨 3 자율주행 기술의 대중화를 겨냥한 공동 연구와 양산 체계 마련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KGM 관계자는 “진흥원과의 기술협력을 통해 자율주행 관련 유럽 법규 대응은 물론 양산 기술 확보와 기술 개발 효율성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자율 주행 관련 고도화 기술은 물론 고성능 하이브리드 SUV 등 친환경차 풀 라인업 완성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다.” 라고 말했다.

2025.07.29 10:23

2분 소요
"부럽다, 친환경차 샀대"…국내 신차 11%가 전기차로 조사

자동차

올해 상반기 기준 전년 말 대비 내연기관차는 감소세를 보인 반면, 친환경차와 전기차는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동차 시장 변화가 가속화하고 있는 셈이다. 또한 국내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가 2640만대를 넘어섰다. 전년 말 대비 11만대(0.4%) 증가한 수치다. 국민 약 1.94명당 자동차 1대를 보유하고 있는 거다.28일 국토교통부는 '2025년 상반기 자동차 등록현황'을 발표하며, 친환경차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고 밝혔다. 올해 상반기 신규로 등록된 자동차 84만6000대 중 전기차는 9만4000대로, 전체의 11%를 차지했다.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의 신규 등록 대수는 38만9000대로 집계됐다.이로써 친환경 자동차는 누적등록 310만6000대를 돌파했다. 이는 지난해 말 대비 35만9000대(13.1%) 증가한 수준이다. 하이브리드차가 26만7000대, 전기차가 9만1000대, 수소차가 1000대 각각 증가했다. 정부가 전기차 할인 인센티브 인상 등 친환경차 보급 정책을 추진하며 전기차 신규등록 건수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수도권에서 전기차 보급이 가장 활발하게 이뤄졌다. 경기 지역은 17만4000여대, 서울 9만여대, 인천 6만9000여대가 등록돼 수도권 전체 전기차 보급 대수는 33만3000여대로 집계됐다. 전남은 3만6000여대, 경남 5만4000여대, 제주 5만3000여대 등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전기차 보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전년 말 대비 전기차 등록 증가율은 인천이 27.4%로 가장 높았다.같은 기간 내연기관 자동차의 누적등록 대수는 소폭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내연기관 자동차는 2312만2000대가 누적등록됐다. 지난해 말 대비 24만9000대(0.14%) 줄어들었다. 경유차가 감소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경유차는 24만9000대 줄어 전체 감소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휘발유차와 LPG차는 각각 1000대 가량 줄었다.다만 전체 자동차 중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낮은 편이다. 상반기까지 누적등록된 전기차는 77만5000대로 전체 누적등록 차량의 2.9%를 차지하는 데 불과했다. 배소명 국토부 자동차운영보험과장은 "전체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가 전년 말 대비 0.4% 소폭 증가한 데 비해 같은 기간 친환경 자동차는 13.1% 급증하며 시장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5.07.29 10:22

2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