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수도권 오피스텔 임대시장 '월세화' 가속…거래 10건 중 7건은 월세
- 서울 월세 비중 75%, 인천 1년 새 8%p 급등

30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을 통해 수도권 오피스텔 임대차 계약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에 체결된 계약 가운데 월세 거래의 비중은 72%에 달했다.
서울과 경기는 월세 비중이 각각 75%와 71%로, 전월세 거래 10건 중 7건이 월세 계약이었다.
인천은 62%로 서울·경기보다 월세 거래 비중은 작았지만, 지난해 6월 월세 비중(54%) 대비 1년 새 수치가 8%p 상승하며 증가 폭이 수도권에서 가장 컸다.
한국부동산원의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데이터상 수도권 오피스텔 평균 전셋값은 작년 6월 1억9천236만원에서 지난달 1억9천174만원으로 1년 만에 소폭(0.3%) 떨어졌다.
반면 같은 기간 월세 보증금은 0.2%(1800만→1804만원), 월세는 2.1%(82만6000원→84만3000원) 올랐다.
전셋값은 하향 조정됐지만, 월세 보증금과 월세는 모두 상승하면서 주거비 부담이 커진 것이다.
지난달 기준 수도권 오피스텔의 '전월세 전환율'은 6.30%로, 작년 9월(6.06%)부터 지난 4월(6.30%)까지 상승했다가 3개월째 같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전월세전환율은 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비율이다. 임대인은 월세 임대 수익을 추정하는 지표로, 임차인은 전월세 선택 및 월세 계약 시 기회비용을 계산하는 지표로 활용한다.
이에 반해 임대인이 전세보증금을 은행 예금으로 예치했을 때 받게 되는 정기예금 수신금리는 지난해 9월(연 3.41%) 이후 내림세가 계속돼 지난 2월부터는 2%대를 기록 중이다.
부동산R114는 "원래도 오피스텔 임대차는 전세보다 월세 계약이 더 활발했지만, 최근 그 비중이 더 확대되고 있다"며 "아파트에 대한 수요 억제로 비(非)주택인 오피스텔로 임차 수요가 유입될 가능성도 있어 향후 오피스텔의 월세 상승세가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샴푸도둑’에 비품 치운 100억 아파트, 1만원 때문 난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최병길, 서유리 저격 "자기 팔자 망치고 있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현실로 다가온 '동맹 현대화'..."정상회담까지 대책 마련해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IPO 실패시 회수 어떻게?…구다이글로벌 CB 투자 딜레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황만순 한국투자파트너스 대표 “단점에 솔직하지 못한 기업 피해라”[바이오 VC 집중조명]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