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6·27 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 상승 거래 감소…지방은 상대적 안정세 유지
- 세종시는 행정수도 이슈 완화로 변화감소

11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7월 전국 아파트 상승거래 비중은 6월(46.5%) 대비 2.1%p 하락한 44.4%로 집계됐다. 하락거래는 38.4%에서 41.8%로 3.4%p 증가했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의 상승거래가 45.0%로 3.1%p 줄어들고 하락거래는 39.2%로 4.1%p 증가했다. 같은 기간 지방의 상승거래는 0.2%p 줄어든 44.0%, 하락거래는 0.4%p 늘어난 43.5%로 지방보다 수도권의 하락 전환 폭이 컸다.
세부적으로 서울의 상승거래는 2.1%p 감소한 51.1%, 하락거래는 3.6%p 증가한 34.0%이었다. 경기의 상승거래는 43.2%로 2.8%p 줄었고, 하락거래는 3.5%p 늘어난 40.6%로 수도권 전반에서 상승거래가 약세를 보였다.
다만 수도권 내에서도 인천의 경우 상승거래는 유지됐으며 하락거래도 1.6%p 늘어난 42.2%로 소폭 증가에 그치는 등 다른 흐름을 보였다.
지방의 경우 큰 변화가 없었으나, '행정수도 이전' 이슈가 잦아든 세종시의 경우 상승 거래 비중은 41.7%로 6월(48.9%) 대비 7.2%p 감소했고, 하락 거래 비중은 같은 기간 35.4%에서 45.2%로 9.9%p 증가했다.
이처럼 수도권과 지방의 거래 흐름이 대조된 것은 △주담대 한도 6억원 제한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 금지 △6개월 내 전입 신고 등의 6·27대책이 수도권과 규제지역에 적용되면서 서울·경기 핵심 지역의 투자 수요와 실수요 모두 관망세로 돌아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직방은 "수도권 중심의 거래 위축이 지속될 경우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조정이나 매매가 하향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면서도 " 공급에 대한 불안 심리가 여전히 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서 관망세가 이어지더라도 실제 가격 조정폭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단순한 공급량 부족이라기보다는 실수요층이 원하는 입지나 주택 유형이 적시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 같은 인식이 일정 부분 시장 가격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정부도 시장의 공급 불안에 주목하며 이에 대한 정책 보완 방안을 함께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李대통령 “양국 2030년까지 교역 규모 1500억 달러 목표”[전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안정환 子, '아빠 어디가' 꼬마가 이렇게나 컸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숙박할인권 쓰러가자”…李정부, 숙박상품 80만장 쏜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F&F 제명 카드 꺼냈다…테일러메이드 매각 갈등 격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일라이 릴리 vs 노보 노디스크, 먹는 비만약 전초전서 노보 勝?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