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요즘 MZ, 이렇게 돈 번다…1억원 이상 보유 '폭발 증가'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29일 발표한 ‘2026 대한민국 금융소비자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1억원 이상 자산을 보유한 사람 중 MZ세대 비중은 2022년 19.8%에서 2023년 27.1%, 지난해 33.6%로 크게 증가했다. 불과 2년 만에 13.8%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전체 대중 부유층 3명 중 1명이 MZ세대인 셈이다.
자산 구성에서도 세대교체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최근 3년간 저축성 자산 비중은 2023년 45.4%에서 올해 42.7%로 하락한 반면, 투자자산 비중은 27.7%에서 32.2%로 꾸준히 상승했다. 연구소는 “MZ세대의 적극적인 투자 참여가 자산 구조 변화를 이끌고 있다”고 분석했다.
세대별로 보면 Z세대(1991년 이후 출생)의 금융자산 중 투자·가상자산 비중은 26.3%로 전년 대비 1.4%포인트 늘었다. 평균 예치액은 959만원으로 집계됐다. 밀레니얼세대(1981~1990년생)는 투자자산 비중이 34.8%로 4.1%포인트 증가했고, 평균 예치액은 2991만원이었다. 반면 X세대(1971~1980년생)는 33.1%로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고, 베이비붐세대(1955~1970년생)는 3.9%포인트 하락한 28%를 기록했다. 이들의 평균 예치액은 4733만원으로 나타났다.
MZ세대의 금융 자신감도 확대되는 추세다. ‘경제·금융 관련 기사를 자주 본다’는 응답은 지난해 33.4%에서 올해 35.2%로 증가했으며, 특히 MZ세대에서 4%포인트 상승해 세대별로 가장 큰 폭의 증가를 보였다. ‘합리적 금융 의사결정을 내릴 역량이 있다’는 응답 역시 MZ세대에서 전년 대비 6.3%포인트 상승했다.
금융상품 선호도에도 변화가 감지된다. 향후 1년 내 가입 의향이 있는 상품으로는 저축상품이 43.8%에서 41.3%로 줄어든 반면, 투자상품은 38.1%에서 40.9%로 늘었다. 특히 해외투자에 대한 선호가 강하게 나타나, 주식 투자자 10명 중 6명이 해외주식을 거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026년 이후에도 부동산보다 주식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을 것”이라며 “MZ세대를 중심으로 투자 중심의 자산운용 기조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리 아이 무시해주세요”… 아들맘 필수 구독 채널 ‘소히조이’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2/isp20251102000029.400.0.jpg)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지오영, 2년 만에 희귀의약품 공급 품목 52% 확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장우♥조혜원, 웨딩화보서 꿀 떨어지는 눈빛 교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계약금 수천 날렸어요”…이사 못가 발묶인 실수요자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회삿돈으로 샴페인에 에펠탑 관광”…과기공 산하 VC 해외출장 논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노보' 인수전 참전에 디앤디파마텍 '신고가'...와이바이오·지니너스도 급등[바이...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